본문 바로가기

돈 되는 경제, 그리고 비즈니스

(13)
큐텐 구영배와 티메프 사태의 본질: 이커머스 시장의 숨겨진 위험 최근 국내 이커머스 업계를 뒤흔든 티몬과 위메프의 판매자 정산 지연 및 환불 거부 사태가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 사태는 단순한 기업의 위기를 넘어서, 급격히 성장한 전자상거래 시장에 내재된 위험이 수면 위로 떠오른 사건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사태의 본질과 그 배경, 그리고 이커머스 산업의 구조적 문제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사태의 개요와 확산티몬과 위메프에서 시작된 판매자 대금 정산 지연 문제는 빠르게 소비자 환불 대란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이는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이 가진 고유의 위험이 현실화된 것으로, 많은 전문가들은 이를 '예고된 사태'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2. 이커머스 시장의 숨겨진 위험 2.1 감독의 사각지대티몬과 위메프의 재무 악화는 이미 2023년 ..
네이버쇼핑 알고리즘, 인기도와 어뷰징 얼마 전에 네이버에서 네이버쇼핑 알고리즘에 관한 변경을 공지했다. 어뷰징, 예를 들어 가구매, 가짜 리뷰와 같은 것을 더 철저하게 잡아내겠다는 것이다. 아마도 6월 12일자 SBS 뉴스가 영향을 미친게 아닌가 싶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694119 갑자기 사라진 네이버 광고…'부정클릭' 대행업체 기승네이버 검색순위 상단에 노출되려고 돈을 내고 광고를 해왔는데 갑자기 검색창에서 제품이 사라졌다는 제보가 왔습니다. 네이버는 판매자가 잘못해서 제재를 했다는 입장인데 이 판매자는 억news.sbs.co.kr 이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았다.  1. 주요 변경 사항:   - AI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 검색 의도를 더 잘 파악하고 그..
상세페이지, 온라인비즈니스의 키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바로 '상세페이지'다. 단순히 제품 정보를 나열하는 공간이 아닌, 고객과 제품이 처음 만나는 곳이자 구매 결정의 핵심 요소다. 최근 상세페이지 작성법에 대한 강의를 들었는데, 그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원 메시지의 중요성상세페이지의 핵심은 '원 메시지'다. 고객이 페이지를 다 읽고 난 후 기억에 남는 단 한 줄의 메시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제품의 특징보다는 고객이 얻을 수 있는 혜택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예: "고성능 냉각 시스템 탑재" (X) → "한여름 밤에도 쾌적한 숙면" (O)  타겟 설정: T자 전략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고객층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T자 전략'을 활용하면 좋은데, 이는 넓은 범위의 타겟을 설..
키워드사운드를 알아보자 키워드사운드는 블로그 작성에 최적화된 최적 키워드 검색 툴이다. 네이버를 비롯한 다양한 엔진과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키워드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한다. 특이한 점은 이렇게 좋은 서비스를 단 한 명의 개발자가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정말 대단한 일이다. 특징키워드사운드는 국내 주요 검색 엔진 및 포털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키워드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실시간 검색어, 일간/주간/월간 인기 검색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주의할 점은 셀러로서 데이터를 이용하시려는 분들은 목적에 맞지 않을 수 있으니, 아이템스카우트나 셀러라이프 등을 이용해 주시기 바란다. 활용하기키워드상세분석가장 장점은 최대 5개 까지의 키워드를 동시에 분석하고 그 결과값을 제시해 준..
해외구매대행, 그리고 세금 나는 온라인비즈니스에 관심이 많다. 그 중에 해외구매대행에 관심이 많다. 알리, 테무로 이제 접는 사람들이 많아졌으니, 오히려 지금이 기회라 생각하고 지금 이 순간에도 내가 소싱할 수 있는 수 많은 제품들이 해외에서 새롭게 생겨나고 있다. 오늘은 해외구매대행 시 알고 있어야 할 세금 이슈에 대해 간략히 정리한다. 우리가 알아야 할 세금1. 부가가치세부가가치세(Value Added Tax, VAT)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생산, 유통, 판매되는 각 단계에서 창출된 부가가치에 대해 과세하는 일종의 소비세다. 대한민국의 표준세율은 10%이며, 간이과세자(연매출 4,800만원 미만)은 1%이다. EU의 경우, 대략 20%-25% 정도로 다양하며 독일이 19%로 가장 싼 편이다. EU 지침 상 표준세율이 최소 15%..